건강

자폐증 증상

가림러브 2021. 8. 8. 19:46
728x90
반응형

자폐증 증상

오늘은 자폐증 증상 자폐증 증상 진단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폐증의 원인에 관해서는 아직도 신경해부적이나 뇌 크기와 측두엽

이상등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을뿐 명확한 발생원인이나

예방법등은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습니다.

 

대체적으로 자폐를 가진 아이는 일반 아이에 비해 뇌크기가 작다라는

특징이 보인정도라 하네요.

자폐증의 일반적인 모습은 사회적 작용이 잘안된다거나 거의 안된다고 보는

수준으로 의사소통이나 상호작용에 지장이 있는 것입니다.

 

특정행동을 반복한다거나 기분이 들쭉날쭉한 불안한 면도 가지고 있고

대부분의 자폐증 환자에게서는 지적장애도 가지고 있어 특별한 치료와 교육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특별한 경우에는 특정분야의 지능이 고도로 발달되어 자폐성 아이라도

영화에서 다루어진 소재처럼 어떤 기억력이 매우 발달되어 몇백년전의 요일을

맞춘다던가 한번 본것을 절대 잊지 않고 있는다던가 하는 비범한 능력을 갖춘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자폐증 증상 진단하는 방법

 

자폐증 증상을 진단할 수 있는 대표적인 요소들이 있는데

사회적 상호작용을알아보는 진단법과

의사소통의 문제를 알아보는 방법,

행동양식으로 자폐증을 구분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자폐증 증상

▶사회적 상호작용에 있어 다음과 같은 행동을 보인다면 자폐증일 확률이 높습니다.

-사람과 눈맞춤이 되지 않아 대놓고 쳐다봐도 금방 고개가 다른데로 돌아갑니다.

-표정등이 자기 기분에만 맞고 상호작용에 의한 반응이 전혀 없고

의사소통을 위한 몸짓이나 행동이 결여가 보일때

-행동이나 감정들이 자기 위주로만 돌아갑니다.

남과 대화나 즐거움 공유, 기쁨이나 슬픔,화 등의 표현등에 문제가 보일때

자폐증 증상

의사소통에 결핍 혹은 심각한 지적장애의 경우

-나이에 맞는 상상놀이나 역할 놀이, 모방놀이등을 하지않음

-특정한 소리나 말을 자주, 반복적으로계속 사용한다.

-한두마디는 대화를 했지만 그 이상으로 지속하는데는 어려움이 보이는 경우

- 언어 발달이 또래보다 늦거나 전반적으로 문제가 보일때

 

자폐증 증상

행동패턴으로 보이는 자폐증 증상은

-물건을 가지고 놀더라도 한부분에만 집착하여 관심을 가진다.

-일정한 패턴의 몸 움직임을 반복적으로 한다.

그리고 그 행동은 의사소통과는 전혀 무관한 움직임이다.

- 자신이 정한 불특정하고 아무 의미없는 행동 순서가 정해져 있어

반드시 그 순서대로 행해야 한다.

그 순서에 따른 행동에는 전혀 융통성이 없고 반드시 자기가 정한 행동을

해야 다음 행동이 진행된다.

대체적으로 위와같은 행동,의사소통분야로 진단을 하고

정확한 검사를 위해서는 청력검사와 뇌파검사,

MRI를 통한 뇌검사등을 실시하게 되고 문제가 나타났을시엔

지속적이고 반복적이며 그리고 오랜시간에 걸쳐 특수 치료를 하게됩니다.

자폐의 정도와 나이에 따라 교육이 다르게 들어가니 특수기관에 상의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지금까지 자폐증 증상,자폐증 증상 진단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728x90
반응형